목차
플라잉스타는 시간과 공간을 분석하는 풍수지리 이론입니다. 여기서 공간은 방위를 기준으로 좌향(坐向)과 이십사산(二十四山)을 결합한 플라잉스타 차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플라잉스타 차트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집의 위치 좌향(坐向)
풍수지리 이론과 서적마다 좌향(坐向)을 부르는 용어는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좌(坐)는 집터 또는 등지고 있는 방향이고, 향(坐)은 집이 전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입니다. 플라잉스타에서는 이를 좌성(坐星)과 향성(向星)이라 부릅니다.
좌성(坐星)
플라잉스타에서는 집이 자리하고 있는 위치를 좌성이라고 부릅니다. 집이 자리하고 있는 위치는 대부분 뒷면에 해당하고, 아파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거실 베란다의 반대편입니다.
좌성은 산성(山星)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강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향성(向星)
플라잉스타에서 집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성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경우 대문 위치가 정면이지만, 아파트의 경우 거실 베란다가 바라보는 방향입니다.
물이 있는 방향이라는 의미로 수성(水星)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재물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좌향을 부르는 다양한 용어가 있지만 모두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좌향으로 집의 좌성과 향성의 방위는 이십사산으로 구분합니다.
집의 방향 이십사산
풍수지리에서 이십사산(二十四山)은 24가지 방위를 의미합니다. 팔괘에는 여덟 방향이 있고 각 방향을 삼등분하면 24가지 방향이 있습니다. 이를 산(山)이라고 부르고 여기서 산은 물리적 산이 아닌 방위를 의미합니다.
팔괘 방위는 각 45도이고 산은 15도씩 총 24개 방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260 방위, 120 방위 등 다양하게 나눌 수 있지만, 풍수지리에서는 24 방위만 보고 분석합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도 이를 좌향론(坐向論)과 결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24 방위표
이십사산은 팔괘의 여덟 방위를 삼등분하여 15도씩 총 24개 방위를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팔괘 | 산 | 향 방향 |
나침반 각도 |
좌 방향 |
나침반 각도 |
감(KAN) | 임(REN) | N1 | 337.5º - 352.5º | S1 | 157.5º - 172.5º |
자(ZI) | N2 | 352.5º - 7.5º | S2 | 172.5º - 187.5º | |
계(GUI) | N3 | 7.5º - 22.5º | S3 | 187.5º - 202.5º | |
간(GEN) | 축(CHOU) | NE1 | 22.5º - 37.5º | SW1 | 202.5º - 217.5º |
간(GEN) | NE2 | 37.5º - 52.5º | SW2 | 217.5º - 232.5º | |
인(YIN) | NE3 | 52.5º - 67.5º | SW3 | 232.5º - 247.5º | |
진(ZHEN) | 갑(JIA) | E1 | 67.5º - 82.5º | W1 | 247.5º - 262.5º |
묘(MAO) | E2 | 82.5º - 97.5º | W2 | 262.5º - 277.5º | |
을(YI) | E3 | 97.5º - 112.5º | W3 | 277.5º - 292.5º | |
손(XUN) | 진(CHEN) | SE1 | 112.5º - 127.5º | NW1 | 292.5º - 307.5º |
손(XUN) | SE2 | 127.5º - 142.5º | NW2 | 307.5º - 322.5º | |
사(SI) | SE3 | 142.5º - 157.5º | NW3 | 322.5º - 337.5º | |
리(LI) | 병(BING) | S1 | 157.5º - 172.5º | N1 | 337.5º - 352.5º |
오(WU) | S2 | 172.5º - 187.5º | N2 | 352.5º - 7.5º | |
정(DING) | S3 | 187.5º - 202.5º | N3 | 7.5º - 22.5º | |
곤(KUN) | 미(WEI) | SW1 | 202.5º - 217.5º | NE1 | 22.5º - 37.5º |
곤(KUN) | SW2 | 217.5º - 232.5º | NE2 | 37.5º - 52.5º | |
신(SHEN) | SW3 | 232.5º - 247.5º | NE3 | 52.5º - 67.5º | |
태(DUI) | 경(GENG) | W1 | 247.5º - 262.5º | E1 | 67.5º - 82.5º |
유(YOU) | W2 | 262.5º - 277.5º | E2 | 82.5º - 97.5º | |
신(ZIN) | W3 | 277.5º - 292.5º | E3 | 97.5º - 112.5º | |
건(QIAN) | 술(XU) | NW1 | 292.5º - 307.5º | SE1 | 112.5º - 127.5º |
건(QIAN) | NW2 | 307.5º - 322.5º | SE2 | 127.5º - 142.5º | |
해(HAI) | NW3 | 322.5º - 337.5º | SE3 | 142.5º - 157.5º |
풍수지리 나침반
위에 있는 표를 원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이 나침반 모양이 나옵니다. 이를 나반 또는 폐철이라고 부르고 집의 좌성과 향성의 방위를 보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플라잉스타 배열 방법
앞서 말씀 드린 내용과 같이 플라잉스타는 시간과 공간을 분석하는 풍수지리 이론입니다. 시간과 공간을 결합한 플라잉스타 차트를 만들어야합니다. 아래는 팔운에 완공된 정남향 아파트로에 좌향을 표시한 차트입니다.
위 차트에 대한 내용은 [숫자 배경과 배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정남향집의 좌성은 N1이고 향성은 S1입니다. N1에 해당하는 4번이 집이 위치하고 있는 플라잉스타 번호이고, S1에 해당하는 3번이 집이 바라보는 방향의 플라잉스타 번호입니다. 해당 숫자는 아래와 같이 배치하면 됩니다.

좌성은 중앙 표에 좌측에 배치하고 향성은 우측에 배치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중앙 2편에 명시되어 숫자 패턴에 따라서 배열하면 됩니다. 배열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중앙> 북서쪽> 서쪽> 북동쪽> 남쪽> 북쪽> 남서쪽> 동쪽> 남동쪽

전체를 배치했을 때 위와 같은 차트가 나옵니다. 좌향을 보시면 오름과 내림차순이 서로 다른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좌성 4번 다음인 북서쪽에 3번이 나왔지만, 향성 3번 다음 북서쪽에 4번이 나왔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에 대한 규칙과 의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로 오류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다음편도 기대해 주세요🙏
'풍수지리 > 플라잉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지리] 남향 아파트 풍수 가이드라인 - S1방향 (2) | 2023.12.09 |
---|---|
[풍수지리] 정남향 아파트 가이드라인 - S2방향 (2) | 2023.12.03 |
[풍수지리] 플라잉스타 숫자의 의미 - 3편 (24) | 2023.10.18 |
[풍수지리] 플라잉스타 숫자 배경과 배열 - 2편 (3) | 2023.10.15 |
[풍수지리] 플라잉스타 풍수 이론 기본원리 - 1편 (2)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