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수지리/플라잉스타

[풍수지리] 플라잉스타 숫자 배경과 배열 - 2편

by 풍수와 부동산 2023. 10. 15.

목차

     

    플라잉스타는 유일하게 계산이 필요한 풍수지리 이론입니다. 계산식과 규칙이 있어 헷갈릴 수도 있지만, 풍수지리의 복잡하지만 매력적인 체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풍수지리 숫자의 배경

    플라잉스타라고 부르는지 궁금하실 수 있지만 이는 하늘의 별과 연관은 없습니다. 플라잉스타는 실질적인 물질이 아닌 기(氣)와 관련된 움직임과 변화를 설명하는 계산법입니다.

     

     

    정확히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불명확하지만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개념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고대 중국에서부터 사용된 수학적 패턴입니다.

     

    1) 하도(河圖) Hetu

    첫 번째 수학적 패턴은 하도입니다. 일명 '강의 지도'라고도 부르며 최초의 기록은 5세기에 작성된 성서(尚書) 문헌에서 나와 있습니다. 하도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검은색은 양, 그리고 흰색은 음을 상징합니다.

    출처: 위키 하도 그림
    출처: 위키 하도 그림

    하도를 숫자로 나열하면 더하기(+) 숫자 배치가 나옵니다. 여기서 홀수 양이고 짝수는 음을 의미합니다. 

     

    하도 숫자 배열
    하도 숫자 배열

    2) 낙서(洛書) Luoshu

    두 번째는 기원전 200년 경 중국 하나라 시대에 기록된 낙서입니다. 당시의 문헌자료는 없지만, 하나라 시대때  거북이의 등에 새겨진 모습을 보고 만들었다고 전해져 왔습니다.

     

    출처: 위키 낙서 그림
    출처: 위키 낙서 그림

    낙서는 풍수지리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기의 흐름에 따른 풍수지리적 건축과 사물의 배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플라잉스타 이론입니다.

     

    3) 구궁도 Magic Square

    하도와 낙서 둘 다 동일하게 검은색(음)과 흰색(양)의 숫자의 배열은 일치합니다. 낙서의 패턴을 보면 돌의 개수가 나와 있고, 이를 아홉 개의 표로 정리하면 구궁도가 나옵니다. 일명 매직 스퀘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구궁도 배열
    구궁도 배열

    구궁도를 어느 방향으로든 세 개의 표를 합하면 모두 15가 나옵니다.

    • 세로 예) 4+3+8 = 15 
    • 가로 예) 4+9+2 = 15
    • 대각선 예) 4+5+6 = 15 

     

    여기서 끝이 아니라, 홀수(양)는 십자가 모양으로 배치되고 짝수(음)는 각 모서리에 있습니다. 여기서 중앙을 제외한 각 홀수(양)를 합하면 짝수인 10이 나옵니다. 만약 여기서 중앙 5번을 홀수(양)와 합하면 짝수(음)가 나옵니다. (10 이상은 앞자릿수 제외)

    구궁도 자연적 숫자 배열
    구궁도 배열

    이와 같이 풍수지리 숫자와 그 패턴은 플라잉스타 배열의 기초가 됩니다.

     

    플라잉스타 연도 차트

    풍수지리 숫자의 의미를 확인하였으므로, 건물의 숫자를 연도와 월을 기반으로 어떻게 찾고 배열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편에서 설명드린 내용과 같이 플라잉스타의 의미는 매년 또는 매월 바뀝니다. 그러므로 어느 플라잉스타에 해당하는지 알아야 건물 풍수 번호를 찾을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길흉 한 기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플라잉스타 이론 기본원리]를 먼저 보고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플라잉스타 계산법

    우선 연도별 플라잉스타 번호 계산법부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예시는 2023년도 기준입니다.

     

    - 연도에 있는 숫자를 모두 합하고, 두자수가 나오면 다시 더하면 됩니다. 2+0+2+3 = 7

    - 11을 결과 값에서 빼줍니다. 11-7 = 4

    - 여기서 나온 결과 값 4이 해당 연도의 플라잉스타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서 2019년의 경우 다 합하면 12가 나오고, 다시 더하면 3이 나옵니다. 3에서 11을 빼주면 8이나오므로 2019년 플라잉스타 숫자는 8입니다.

     

    2) 플라잉스타 연도 배열

    기본적인 배열을 알았다면, 플라잉스타가 어떻게 배열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서 계산한 2023년도 플라잉스타 번호는 4번입니다. 시작은 중앙에서 해야 하므로 4번을 중앙에 배치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2023년 플라잉스타 차트


    3) 플라잉스타 숫자 패턴

    위 숫자는 무작위로 배치한 게 아닌 위에서 말씀드린 낙서(洛書)의 수학 적 패턴에 따라서 작성하였습니다. 배열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중앙 > 북서쪽 > 서 > 북동쪽 > 남쪽 > 북쪽 > 남서쪽 > 동쪽 > 남동쪽

     

    숫자는 바뀔 수 있어도 숫자 패턴은 바뀌지 않습니다. 플라잉스타의 패턴 시작 점은 중앙이므로 이점은 꼭 기억하시면 됩니다. 이를 표에 표시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플라잉스타 패턴 순서
    플라잉스타 패턴 순서

     

    플라잉스타 월 차트

    1편에서 말씀드린 내용과 같이 플라잉스타 연도와 월별 차트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일과 시간이 있지만 풍수지리에서는 월까지만 보고 있고, 월 차트는 소품이나 장식품 배치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1) 연도별 십이지(十二支)

    월별 계산 방식은 연도와 다르므로 우선 연도별 십이지(十二支)를 봐야 합니다. 건물의 완공 연도에 따라서 플라잉스타 번호는 달라집니다.

     

    2) 해당 연도 12 절기 (十二節氣)

    24 절기에서 매월 시작을 알리는 12 절기만 사용됩니다. 새해의 시작은 매년 입춘을 기준으로 보고 있기에 1월이 아닌 2월 4일 또는 5일이 첫 번째 월의 시작입니다. 

    절 기 시작 일자
    입춘(立春) 2월 4일 경
    경칩(驚蟄) 3월 5일 경
    청명(淸明) 4월 5일
    입하(立夏) 5월 5일
    망종(芒種) 6월 5일
    소서(小暑) 7월 7일
    입추(立秋) 8월 7일
    백로(白露) 9월 7일
    한로(寒露) 10월 8일
    입동(立冬) 11월 7일
    대설(大雪) 12월 7일
    소한(小寒) 1월 5일

    3) 플라잉스타 월 숫자

    해당 연도 십이지에 따라서 나오는 월별 중앙 플라잉스타 숫자 달라집니다. 2023년도는 계묘년으로 토끼띠의 해입니다. 2023년 2월의 경우 플라잉스타 중앙 숫자는 8번이고, 5월의 경우 5번입니다.

    구분 쥐 토끼 말 닭 소 용 양 개 호랑이 뱀 원숭이 돼지
    입춘 8번 5번 2번
    경칩 7번 4번 1번
    청명 6번 3번 9번
    입하 5번 2번 8번
    망종 4번 1번 7번
    소서 3번 9번 6번
    입추 2번 8번 5번
    백로 1번 7번 4번
    한로 9번 6번 3번
    입동 8번 5번 2번
    대설 7번 4번 1번
    소한 6번 3번 9번

     

    플라잉스타 차트는 매월 다르므로 해당 월을 기준으로 봐야 합니다. 2023년 11월 7일부터 12월 6일까지 플라잉스타 배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 11월 플라잉스타 숫자 배치
    2023년 11월 플라잉스타 숫자 배치

     

    플라잉스타 숫자 배경과 배열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숫자가 가지는 의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로 오류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다음편도 기대해 주세요🙏

     

    ↓↓↓ 하단에 공감 하트()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