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풍수지리에서 주변 외부 환경을 눈으로 보고 분석하는 이론이 형세론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에는 방향을 상징하는 사신(四神)이 있습니다. 사신의 조화를 이루면 이를 배산임수의 명당이라고 부릅니다. 과거 산과 물만 보았지만, 현대에는 건물과 도로도 이에 해당합니다.
배산임수는 사신을 기준으로 주변 환경을 네 가지 방위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아파트를 기준으로 우측에는 백호, 좌측은 청룡, 정면은 주작 그리고 후면에는 현무가 있습니다. 이들 간의 조화를 이루어야 비로소 명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방향을 상징하는 사신
주변 환경을 볼 때 가장 중요한 사항이 바로 지형입니다. 적절한 경사가 있고 배수가 잘되는 지형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집 주변 환경을 상징하는 사신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먼저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무(BLACK TURTLE)
- 방향: 후면
- 속성: 수(水)
- 색상: 검은색
현무는 아파트 후면에 위치해 있습니다. 현무는 음의 기운에 해당하므로 안정과 지원을 상징합니다. 아파트 후면에는 안정감을 가져다주는 음이 있어야 보호받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강이나 물이 집 후면에 있으면 좋지 못합니다. 물은 양의 기운이 강하므로 현무 자리에 있으면 거주자에게 불안함을 가져다줍니다. 예를 들어 침대머리가 창가 밑에보다는 벽면에 있어야 수면에 좋은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침대 배치는 여기서 확인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산이 현무에 해당하지만, 도시의 고층빌딩도 산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더 작은 규모로는 큰 나무들도 현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후면에 아파트를 보호해 줄 수 있는 고층 건물이나 산이 있어야 좋습니다.
주작(RED PHOENIX)
- 방향: 정면
- 속성: 화(火)
- 색상: 붉은색
아파트 베란다를 기준으로 정면에 보이는 뷰가 바로 주작에 해당됩니다. 주작은 현무 반대편에 위치해 있으므로, 안정과 보호를 의미하는 현무와는 달리 주작은 이로운 기운을 받기 위해서는 개방감 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지대가 낮은 데서 물이 모이듯이, 지대가 평평하거나 살짝 경사져 있어야 이상적입니다. 앞에 강이나 호수가 있으면 이롭다는 이유도 아파트 부지보다 지대가 더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파트도 뻥 뷰를 더 많이 선호하듯이, 집 앞은 막혀 있으면 이롭지 못합니다. 큰 나무가 집 바로 앞에 있으면 풍수지리적으로 안 좋다고 많이들 들었을 겁니다. 이는 마치 소파 바로 앞에 벽이 있는 것과 유사하므로 심리적으로 답답한 느낌을 줍니다.
그러므로 주작 위치에 높은 건물이나 건축물이 있으면 배산임수에 어긋납니다.
청룡(GREEN DRAGON)
- 방향: 좌측
- 속성: 목(木)
- 색상: 녹색
아파트 베란다를 기준으로 좌측면이 청룡에 해당됩니다. 다른 위치보다 가장 강한 양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므로 청룡은 남성성을 상징합니다.
집안의 가장이 남자라면, 좌측 환경이 어떻게 조성되어 있는지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재물과 연관이 있으므로 만약 가장이 남자고 우백호의 기운이 더 강하다면 기세를 못 필 수 있습니다.
청룡은 백호와는 반대로 능동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룡이 자산 증식을 의미한다면, 백호는 자산 보호를 의미합니다. 둘이 조화롭게 위치해 있어야 재물이 들어오고 지킬 수 있습니다.
백호(WHITE TIGER)
- 방향: 우측
- 속성: 금(金)
- 색상: 흰색
아파트 베란다를 기준으로 우측면이 백호에 해당됩니다. 백호는 다른 동물들보다 음의 기운이 가장 강하므로 여성성을 상징합니다. 예를 들어 집안의 가장이 여성이라면 외부 우측 환경이 어떻게 조성되어 있는지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맞벌이 부부 또는 여성이 집안의 가장이면 우백호가 좌청룡보다 높아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남성의 경우 집안의 주도권을 잃고 뺏길 수 있습니다. 또는 부(夫)는 자녀를 통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주변 건물과의 조화
일반적으로 산과 강은 흔하지 않으므로, 주변의 건물의 보고 사신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살고 있는 동에서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동이 좌청령과 좌백호에 해당합니다.
주변 건축물에 대한 정보는 [주의가 필요한 건물] 여기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신의 영향력을 구분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사이즈: 건물(동)의 크기가 클수록 영향력이 더 강해집니다.
- 거리: 가까운 건물(동)의 영향력이 더 강해집니다.
- 밀도: 세대수나 입주 가자 많은 건물(동) 일 수록 영향력이 더 강해집니다.
아파트를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동 좌청룡, 우측에 있는 동은 우백호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좌측에 있는 동의 크기, 거리 그리고 밀고가 우측보다 더 우세해야 좋습니다.
뒷면에 있는 동은 현무에 해당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단, 뒤편에 있는 건물이 자신의 집을 압도 해서는 안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저층부에 거주하고 있는데 뒤에 30층 짜리 동이 있으면 압도당하는 느낌은 물로 채광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아파트 정면을 가로막는 높은 건물이 없어야 합니다. 정면은 주작에 해당하므로 앞 가로막는 건축물이 없어야 풍수적으로도 매우 이롭습니다.
배산임수 "안락의자" 형태
아파트를 둘러싼 사신(또는 외부 환경)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면 안락의자 형태와 유사합니다. 백호와 청룡은 팔걸이처럼 보이고, 현무는 등받이 그리고 주작은 스툴의 형태를 띠고 아파트가 중앙에 위치해 있으면 배산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락의자에 앉아 있는데 팔걸이 중 하나가 없으면 어떤 느낌이 들까요? 허전함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의자의 벨란스가 맞지 않으면 자세가 무너지듯이 풍수지리에서 사신의 조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조화를 이루어야 비로소 배산임수의 명당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로 오류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다음편도 기대해 주세요🙏
'풍수지리 > 모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지리] 경사진 곳에 지어진 아파트를 피해야 하는 이유 (2) | 2023.10.24 |
---|---|
[풍수지리] 주변에 있으면 주의가 필요한 건축물 (0) | 2023.08.29 |
풍수와 도로 - 물과 유사한 도시의 물줄기 (0) | 2023.08.27 |
풍수와 물 - 물의 위치, 종류 및 속에 따른 의미 (0) | 2023.08.25 |
[풍수와 산] 산은 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0)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