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인 취양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다수가 저층보다 고층을 더 선호는 이유는 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멋진 뷰라도 살기(殺氣)에 노출되어 있다면 거주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살기를 어떻게 막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살기를 막는 8가지 방법
도심에 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주변 건축물로 살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살기에 장기간 노출되어 있으면 거주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건물의 모서리, 균열 또는 뾰족한 건축물이 살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외부 살기로부터 집을 보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식물과 화분
식물을 활용하여 살기로부터 자연적 보호막을 형성해 주면 좋습니다. 거실에서 화분 키우는 건 추천하진 않지만, 외부 베란다에 다수를 배치해 둬서 자연 보호막을 형성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살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목(木)이 부족한 집에는 식물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신 장미처럼 가시가 있는 품종은 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수족관
풍수지리에서 가장 흔하게 기(氣)는 물을 만나면 느려지고 모인다는 말을 들었을 겁니다. 이처럼 수족관을 활용하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살기를 수(水)로 집 내부를 보호해 줄 수 있습니다.
살기에 노출되어 있는 창가 근처에 배치하면 좋으나, 햇빛에 노출되어도 괜찮은 어류만 선택하여 주시면 됩니다.
3) 풍경종
풍경종은 살기를 막아 줄 수 있으나 음양오행에 따라 선택해야 하므로 조금은 복잡합니다. 그러므로 풍경종의 소재에 따라서 그 속성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풍경종은 금(金) 속성에 해당하고, 크리스털은 토(土) 및 목재(대나무) 풍경종은 목(木) 속성에 해당합니다.
풍경종은 음양의 조화를 이해하고 필요한 속성으로 적절하게 배치하면 가장 좋으나, 모르고 설치하면 오히려 특정 속성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초보자에게는 풍경종은 추천하진 않습니다.
4) 팔괘경 (八卦镜)
팔괘경은 팔괘 거울로 풍수지리의 상징적인 물건 중 하나입니다. 거주 공간을 외부의 살기로부터 가장 확실하게 보호해 주므로 유해한 건축물이 보이는 방향으로 창가에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팔괘경에 대한 세부사항은 [팔괘경의 모든 것] 여기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5) 구궁 (九宮)
구궁은 팔괘경과 유사하지만, 유일한 차이는 구궁 품은 꼭 거울이 아니어도 됩니다. 구궁은 장식품, 애뮬릿, 그림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이를 창가 쪽에 걸어두시면 됩니다.
팔괘경보다는 구궁이 디자인적으로 더 괜찮으므로 팔괘의 대체품으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6) 커튼
풍수가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 하나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은 나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입니다.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하면 외부 경관 자체를 차단하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급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한 줄기의 빛도 허용하지 않는 암막커튼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뷰를 계속 차단하는 것은 애당초 웃돈을 주고 고층을 매매한 이유가 없어집니다. 물론 양질의 수면에 암막커튼은 필요하지만 집에 들어는 양기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낮에는 걷어두는 게 좋습니다.
7) 창문 필름지
커튼의 대체재로 효과가 동일한 필름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단열 시트지로 탈부착이 간편하고 기능성이 있으면 좋으나 필름지는 쉽게 탈부착하기 힘드므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설치할 때도 전문 시공사의 손실이 필요하지만, 부착하는데도 전문가를 불러야 하므로 생각보다 경제적이지 못한 선택입니다. 그러므로 필름지보다는 커튼을 더 추천합니다.
8) 산해진 (山海镇)
점에 부적이 있듯이 풍수의 부적 같은 존재가 바로 산해진입니다. 산해진은 예술품으로 팔괘, 산과 바다 있는 작품입니다. 산해진은 외부 살기가 압도적일 때만 배치해 주시면 됩니다.

매우 강력한 상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거주자가 압도당할 수 있으므로 진짜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면 배치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도시 경관 View
도심은 첨살(尖煞), 각살(角煞) 등 살기에 해당하는 다양한 건축물을 도시경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살기에 해당하는 건축물에 대한 정보는 [주의가 필요한 건축물] 여기서 확인 이 가능합니다.
그렇다고 집에서 보이는 도심경관이 모든 아파트 거주자에게 해로운 건 아닙니다. 때로는 우연의 일치로 다른 근접한 구조로 인해 살기의 영향일 약화될 수 있고 멀리 떨어져 있으면 실질적으로 주는 영향은 미비할 수 있습니다.
가끔은 살기가 오히려 생기로 변환될 수도 있습니다. 확실하지 않을 경우, 당연히 보이는 살기는 위 8가지 방법으로 막는 게 가장 좋습니다.
댓글로 오류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다음편도 기대해 주세요🙏
'풍수지리 > 기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서쪽 방향에 부엌이 있으면 흉한 풍수 이유! (불타는 천문) (0) | 2024.01.16 |
---|---|
[풍수지리] 몇 층이 가장 좋을까? 실거주 아파트 층수 고르는 방법 (4) | 2023.11.12 |
[풍수지리] 음양오행 수(水) - 집과 사주의 관계 (2) | 2023.10.08 |
[풍수지리] 음양오행 금(金) - 집과 사주의 관계 (1) | 2023.10.03 |
[풍수지리] 음양오행 토(土) - 집과 사주의 관계 (2) | 202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