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수지리/인테리어

[풍수 인테리어] 숙면에 도움을 주는 침실 풍수

by 풍수와 부동산 2023. 9. 12.

목차

    신혼부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면 거실 다음으로 침실을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뽑는다. 풍수에서 침실은 정문과 부엌 다음으로 중요하게 본다. 침실은 집에서 휴식하는 공간이자 제일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므로 사람에게 긍정적인 기운을 주는 침실에 대해서 알아보자.

     

    침실 모양

    침실 모양에 따라서 숙면에 도움을 줄 수도, 방해할 수도 있다. 침실 모양에 따라서 풍수적으로 의미가 다르므로 참고하면 좋다.

     

    1) 정사각형

    • 정사각형은 가장 이상적이고 길한 침실 모양이다.

    2) 직사각형

    • 정사각형 다음으로 길한 침실 모양이다.

    3) 원형

    • 침실로서 원형 모양은 부적합하다. 원래 방 중앙에 생기가 모이는데 원형 침실이면 수면에 방해될 정도로 기가 중앙에 샘솟는다. 만약 선택권이 없다면 침대를 정중앙 두는 것만큼은 피하자.

    4) 사다리꼴

    • 원형보다 괜찮지만, 균형 잡힌 모양이 아니므로 침실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5) T자형

    • T자형은 침실보다 다용도실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T자형 삼거리와 마찬가지로 모서리가 많고 흉한 모양이므로 아이 공부방으로도 부적합한다.

    6) L자형

    • T자형과 마찬가지로 L자형 방도 다용도실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7) 삼각형

    • 삼각형은 보면 피하자. 만약 집에 삼각형 모양의 방이 있다면 창고로 사용하자.
    •  

    침대 방향

    풍수에서 중요한 것은 사람이 직접 느끼는 기운이다. 침대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만큼 안정적인 기의 흐름인 방향에 배치하면, 숙면의 질이 달라진다.

     

     

    1) 머리 방향

    • 침대 머리를 벽면에 배치하면 가장 안정적인 음의 기운을 받을 수 있고, 그중 다른 방 사이에 있는 벽면만 아니면 가장 좋다. 침대머리를 창문 앞에 배치하면 숙면에 방해받을 수 있다. 양의 기운은 창문을 통해서 들어오고 나가므로 창문 머리가 창문 앞에 있으면 안 좋다.

    2) 발 방향

    • 침대 머리와 마찬가지로 누웠을 때 발 방향이 창문을 향하면 좋지 못하다. 최악은 누웠을 때 발이 방문 앞에 향하는 배치이다. 발이 입구로 향하는 배치는 죽은 사람을 위한 배치이고, 과거 음택풍수에서 시체의 발 방향은 무덤 입구 쪽 배치하였으므로 문 앞에 발을 두는 것은 피해야 한다.

    3) 모서리 방향

    • 모서리는 각살(角煞)에 해당하므로 최악이다. 식탁 모서리에 않아 있으면 사람은 불편함을 느끼는 것처럼 모서리를 향해서 누워 있으면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침실 소품

    침대 근처에는 기본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게 가장 좋고, 그다음이 복잡하지 않으면서 움직임이 없는 소품이다. 안정감을 주는 소품을 배치하면 좋으나, 반대로 움직임이 있는 양의 기운이 있는 소품을 두면 좋지 못하다. 대표적으로 어항이 있는데, 물은 양의 기운이므로 침실에 두면 안정적인 음의 기운이 방해 받는다. 

     

     

    1) 천장 모빌 

    • 강성적인 소품으로 침실 모빌을 주렁주렁 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움직임이 없다 하여도 존재 자체만으로도 숙면에 방해된다. 움직임 자체가 양의 기운이므로, 이는 침실의 안정적인 음의 기운을 방해 한다.

    2) 거울 

    • 침대에서 거울이 보이면 방 전체를 볼 수 있으므로 안정감을 준다. 거울이 있으면 직접 보지 않아도 다른 방향을 볼 수 있으므로 방에 대한 통제권을 높여준다. 하지만 거울이 침대 바로 앞에 있으면 신경 쓰일 수 있다. 그러므로 거울이 있는 화장대나 붙박이장에 부착된 거울 등 신경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침실에 설치하면 좋다.

    3) 물침대

    • 거의 없겠지만, 만약 물침대를 사용하고 있으면 일반 침대로 교체하는 게 좋다. 물의 움직임은 양의 기운이므로 안정적인 음의 기운과 상충된다.

    4) 책장(책상)

    • 책장은 방에 있어도 나쁘지 않지만, 누워 있을 때 책장 모서리가 바로 옆에서 보이지만 않으면 좋다. 이는 책상도 마찬가지이다.

     

    방문 앞 공간

    침실 문 앞에는 여유공간이 있으면 가장 이상적이다. 예를 들어 방문을 열었을 때 넓은 거실이 보인다면 기는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만약 방문 앞에 공간이 부족하다면 기 또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없게 된다. 방문 앞에는 웬만면 큰 가구를 배치하는 것을 피하는 게 좋다.

     

    방문과 다른 문이 마주 보는 구조를 문충살이라고 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문과 문이 마주 보고 있으면 좋지 못하다. 문이 서로 마주 보고 있으면 대립하는 기운인 화를 생성한다고 한다.

     

    방문에서 다른 방 벽의 모서리가 보이면 각살(角煞)에 해당하므로 피하는 게 좋다.

     

     

    본 포스트에 대한 이견이 있으시면, 당신의 견해가 모두 맞습니다. 감사합니다.